
1. 들어가며
지난 글에 이어 재차 이야기 하지만 이 글은 뭐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 혹은 사업을 등을 통해 수십배의 이익을 통해 순식간에 1억을 벌었다 이런 내용은 전혀 없습니다.(나도 그런거에 성공해서 적어 보고싶다.) 또한 재무상담을 하라는 내용도 없습니다. 사실 큰돈 굴릴 것이 아니라 굳이 재무상담이 필요 할까 싶네요. 책을 읽고 공부를 한다면 누구나 충분히 알 수 있는 내용들입니다. 거기다 무료 재무상담이라니. 세상에 공짜란 없습니다!
그저 평범한 월급쟁이 직장인이(?) 단 기간에(3년) 1억을 모을려고 노력했던 경험담을 공유하고 싶어서 쓰게되었습다. 비록 저는 목표했던 3년 보다 조금 더 초과해서 1억을 모았지만 다른 분들은 꼭 성공했으면 좋겠네요.
이번 글에서는 1억을 모으는데 필요·충분 조건이라고 할 수 있을 소득과 소비에 대해서 적어 보겠습니다.
2. 기초자산 (사회 생활 전)
제목은 소득과 소비에 대해서만 다룰 것처럼 해놓았지만 기초자산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지나 갈 수가 없네요. 사실 부모님이 빌딩이라도 있는 금수저라면 이런 고민을 할 필요 없겠지만 저의 경우에는 평범했습니다. 사실 요즘 같은 시대에 학자금 대출을 받지 않게 해주신 부모님들께 큰절이라도 해야 할 판이죠.
아무튼 대출은 전혀 없었습니다. 중간에 인턴도 3개월 정도 한 덕분에 모아 놓은 돈이 100만원 정도는 있었습니다.
3. 소득
소득은 1억원을 모으는데 아주 기본적인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노동소득이든 자본소득이든 많든 적든 일단 어떤 종류로든 소득이 있어야만이 돈을 모을 수 있는 건 누구도 부인 할 수 없을 것 입니다.
간단하게 산술적으로 계산해서 3년안에 1억을 모을려면 대충 1년에 3333만원은 필요하고 월에는 278만원을 꼬박 꼬박 저축하면 되는데.. 되는데...
저의 경우에는 상여금이 꽤나 들쑥날쑥하여 변동이 있긴하지만 한해 노동소득이 세후로 대략 4300만원 정도가 되었습니다. 그럼 1억을 모으기 위해서 대충 한해 쓸 수 있는 돈은 960만원 정도가 되겠네요. 그럼 대충 한달에 쓸 수 있는 여유 돈은 대략 80만원이 입니다. 음? 이렇게 적다보니 생각보다 많았네요? (1년차에는 소득이 적은 편이었습다. 일단 상여금도 거의 없었고 3개월 간은 수습이라며 월급에 80%만 지급되었기 때문이었죠.)
사실 소득부분에서는 특별히 해줄 말이 없습니다. 연봉협상은 한다만은 우리나라 월급쟁이 대부분 그렇든 연봉통보로 끝나기 마련이고.. 소득을 갑작스레 늘릴 비법이라도 알려드릴 수 있었으면 좋겠지만 대충 읽으시는분 자신의 상황과 비교하여 1억을 모을 견적을 내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4. 소비
기초자본이 부실한 사회초년생에게는 소비를 어떻게 조절하는 가가 재테크에서 빛과 소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득이 필요 조건이라면 소비는 충분 조건이라고 할 수 있죠. 아무리 돈을 많이 벌더라도 그만큼 소비 해버리면 1억을 모으기란 요원한 일 입니다.
특히나 돈을 잘 모으지 못하는 사람들이 착각하고 있는 사실이 있는데요.
소비를 하고 남는 돈으로 저축(투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저축(투자)을 하고 남는 돈으로 소비를 하는 것이 올바른 재테크 방식이라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특히나 기초자본이 부실 할수록 투자수익률(이자율)에 집착 할 것이 아니라 소비를 줄이는 것이 중요한데요. 수익률은 단어의 뜻 그대로 %단위로 계산이 됩니다. 한마디로 기초자산이 클수록 결과 값이 커진다는 소리인데요. 고로 기초자본이 부실 할 수록 소비를 줄이는 것이 재테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습니다. 100만원을 은행에 1년 예금으로 넣어봐야 1만원 정도 이자로 나오지만 담배를 핀다면 한달에 담배 3갑만 줄여도 그것보다 더 많은 돈을 세이브 할 수 있습니다.
자 훈계는 이제 그만하고 다시 나의 이야기로 돌아겠습니다. 나의 지난 3년간의 현황을 설명 하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영역은 당연히 의식주, 취미 영역 일 것입니다.
성별 |
남 |
지역 |
지방 |
주거 형태 |
기숙사 |
차량 |
X |
취미 |
독서, 운동(마라톤, 웨이트), 영화 |
직무 |
사무직 (공장 근무) |
기타 |
담배X , 술 조금 |
보험 |
X |
이와 관련된 나의 지난 3년 간의 현황은 위와 같습니다. 일단 공장근무이다 보니 소위 작업복을 입고 돌아다닙니다. 그래서 출근 할 때 옷에 거의 신경을 안써도 되고요. 또한 직장에서 밥을 다 줍니다. 공장의 좋은 점은 아침,점심,저녁 다 주고 심지어 주말에도 있으면 줍니다! 덕분에 식비도 거의 들지 않았습니다. 주거 형태도 기숙사이다 보니 5만원도 안되는 돈으로 전기세, 물세 와 같은 공과금은 물론 잠까지 해결 할 수 있었습니다. 거기다 지방이다 보니 밖에 나가서 뭘 해도 수도권 보다는 싸죠. 차는 당연히 없습니다.
취미도 다들 돈이 별로 들지 않는 것들이죠. 독서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고 운동은 PT 받은적 없습니다. 영화는 통신사 VIP로 가끔은 공짜로 보기도 하고 담배는 원래 피지 않았고 술은 뭐 굳이 안 사먹도 먹어도 회사서 다들 열심히 사주더라구요..
보험은 부모님과 결혼비용 받지 않는 걸로 합의보고 현재 대신 내주고 계십니다. (내년부터는 제가 낼 예정이다.)
이렇게만 적놔서는 감이 잘 오지 않으실 수도 있는데요 정말 초기에는 한달에 이것저것 했는데도 30만원도 안썻던 적이 몇달이나 있었습니다. (사실 그때는 폰 요금도 3만원대에 기숙사 방에 인터넷도 안넣고 살았고 결정적으로 연애도 하지 않던 시절이었죠.)
요즘는 고정지출이 기부금, 기숙사비, 통신비 등 해서 대략 20만원 가량이 됩니다. 이것도 올해 초에 1억모으고 나서 폰을 바꾸고 하다보니 좀 늘어난겁니다. 굉장히 적죠? 기숙사에서 살지 않았다면 혹은 서울에서 살았다면 월세로도 모자랄 수 있는 돈인데다 요즘처럼 더운 여름날에 에어콘도 못키고 살았겠군요. 과연 제가 이런 특수한 상황에 처해있지 않았다면 지금까지도 1억을 모을 수 있었을지 장담을 하지 못하겠네요.
1억을 모으는 동안 단일 제품으로 가장 비싼 것은 아마 지금 글을 쓰는데 열심히 활용 중인 노트북 입니다. 그외에는 이래 저래 50만원이 넘는 돈을 한번에 쓴 적은 부모님 용돈이나 병원비 빼고는 없었습니다. 해외 여행은 한번도 안갔어요. 제주도도 안 가봤어요요. T_T
점점 글을 읽을 수록 저 인간은 대체 무슨 재미로 살았을까라는 의문이 들고 있지는 않나요?
다음 글은 어떤 방식으로 저축 혹은 모을 것인가에 관한 '현금흐름 관리'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이전 글
2016/08/18 - [재테크] - 3년안에 1억모으기 가능할까? (들어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