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 지루한 경매까지 가는 길

 

 이전 글을 다시 정리하자면 일단 100만원, 200만원, 400만원 을 각각 투자를 하였다. 그리고 100만원짜리 투자는 이미 이야기 했다시피 경매 물건을 채무자가 임의로 처분 하였기 때문에 경매에 들어가지도 못한 채 원금이 전부 손실이 되어버렸다. (현재 형사고소 하여 재판 진행중) 그리고 200만원은 다행히도 채무자님께서 금액 전부를 변제하여 투자가 정상적으로 종료가 되었다.

 

 그러면 이제 가장 큰 돈이 투입되었던 400만원 자리인데. 이 물건은 2억 상당의 CNC 밀링기를 담보로 1억원을 펀딩한 것이고 이자율은 월에 1%였다. 분명 이걸 펀딩하기 전까지만 해도 앞서 투자했던 곳에서 이자가 꼬박꼬박 입금 되는 상황이었는데다가 담보 비율이 50%이고 업체측 설명에 의하면 물량이 꾸준히 들어오고 있어 문제가 없다는 듯 말을 해놓아 믿고 덜컥 큰돈을 맡겼던 것이다. (그래 다 내 잘못이다.)

 

 아무튼 어느 순간 조금씩 연체가 되기 시작하던 이자 납입은 가끔씩 이자가 입금 되면서 시일만 점점 흘러가며 채권자에게 끌려 가고 있었다. 결국은 원금상환 일시가 가까워 오자 결국 채권자는 이자를 납입하지 않았고 담보물은 경매로 넘어갔다. 이 채권자의 경우 굉장히 (뭐 개인적인 사정이야 있을 수 있겠지만) 악질이었는데 처음 내용 증명을 보내고 법원에 강제 경매 신청이 들어가자 P2P 중개 업체와 연락하며 시일을 주면 이자를 주겠다는 말로 시간을 더 끌었었다.

 

 결국 여러가지 일과 마찬가지로 다른 곳과 엮인 채권관계 때문인지 마지막 입금일로부터 10개월이지나서야 담보물에 대한 감정금액이 나오고 경매일이 확정이 되었다. 최저 매각 금액은 2억 8천이었고 나중에 확인 해본결과 채무자가 이것 외에도 여러곳에서 돈을 빌렸던지 다른 것과 함께 경매가 물려있었다. 그렇지만 충분히 나의 원금을 찾기에는 무리가 없을 꺼라고 생각했었었다.

 

6. 유찰! 유찰!

 

 그런데 일은 언제나 그렇듯이 내 뜻대로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 몇차례 유찰이 있을거라고는 생각했지만. 유찰은 계속 되었고 그때마다 최저 매각금액은 반토막이 나고 있었다. 결국은 최종적으로 약 4천만원에 낙찰이 되었다. (원금의 약 40%)

 

결국 내 수중에 떨어진 돈은 약 160만원이었고, 투자 결과는 -60%라는 처참한 결과였다.

전체로 봤을 때 약 -50%라는 수익율이 나왔다.

 

7. 고수익 저위험의 허상

 

 흔히 P2P투자를 홍보 할때 쓰는 문구가 주식이나 일반 펀드 보다 쉽고 안전하고 수익율은 잘나온다고 이야기 한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어디에도 고수익 저위험은 없다. P2P투자 시에는 흔히 담보가 있으니 더 안전하지 않을까 하지만 이제까지 이야기 했듯이 꼭 그렇지만도 않은게 사실이다. 여기에 나의 사례는 동산이지만 요즘에는 부동산을 많이 하니 나의 사례는 옳지 않다고 할지도 모른다. 요즘 잘나가는 P2P 업체의 투자는 일종의 PF대출인데 과거에는 이 대출을 은행들이 특히 저축은행들이 해주었지만 이걸 이제 개인들을 끌어모아서 해주는 형태이다.

 

 혹시 기억할지 모르겠지만 P2P투자를 통해 부동산에 투자를 할 생각이라면 과거 저축은행 사태가 일어난 중요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PF대출이었다는 것을 기억해야만 할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P2P투자 업체들이 저축은행 보다 신용평가와 담보물평가를 엄정하게 하고 안전하게 자금을 운용한다는 보장을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저축은행은 고객들로 예탁금으로 끌어 모은 돈을 자신의 자산으로 활용하여 자기의 명의로 투자를 했다. 이익이 나면 고객들에게 그중 일부만 이자를 주고 나머지는 자신들의 이익으로 챙겼고 손실이 나도 지급하기로 된 이자는 지급하고 당연히 원금은 보존 되었다.파산하지 않는 다는 전제하에 그렇지만 손실은 온전히 그들의 몫이었다. 그리고 그 결과가 안타깝게도 파산이었지만 말이다.

 

 하지만 P2P 업체의 경우 자신들은 수수료만 챙길뿐 (물론 수익율에 대해서도 일부 나오겠지만) 손실 결과에대해서는 자신들이 감당할 것이 거의 없다. 평판이 떨어지고 고객의 항의를 받기는 하겠지만 금전적인 손실은 온전히 투자자의 몫이라는 말이다.

 

8. 마치며

 

 경매가 시작되고 한동안 매일 업데이트 되는 정보가 있나 싶어 키x펀딩 사이트를 들락날락 거렸는데 업데이트 되는 상황이 없어 결국 직접 법원 경매사이트에서까지 조회를 하였다. 그리고 짜증이 나서 쪽지도 보냈지만 답장이 없어 결국은 사이트에 있는 고객센터로 전화를 걸었는데 상호가 이상했다. 내가 알던 상호가 아니라서 보니 아예 상호를 변경하고 다른 홈페이지를 개설하였다. 마치 전혀 상관 없는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근래 찾아보니 컨셉도 아예 싹바꾸고 우수 스타트기업으로 지정되었다는 뉴스를 보니 아주 어의가 없었다.

 

 그러고보면 이 사태는 이미 어느정도 예정 되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잘 알지도 못하는 부분에 업체의 설명만 듣고 무턱대고 투자를 한 것이나. 어느 날 잘 운영되고 있던 홈페이지의 회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게시판이 사라져 버렸다던지 말이다.

 

  아무튼 모든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개인에게 귀속된다는 점을 잊지 말기를 바라며 너무 터무니 없는 환상도 두려움도 가지지 않고 투자를 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