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들 그런 경험이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사람이 가득 들어찬 어두컴컴한 영화관, 영화의 앞에 나오는 지루한 광고도 끝나고 화재 비상대피로 안내 방송이 스크린에 나올때 쯤 겨우 도착해 사람들의 다리를 헤치며 나아가 가운데 있는 자리에 겨우 착석했을 때.

 

 나 혹은 우리보다 먼저 온 사람들이 내 왼쪽 혹은 오른쪽 팔걸이에 음료수를 끼워놨던 경험. 물론 양쪽 팔걸이가 다 남에게 점령되는 일은 흔치는 않겠지만 혹시 그렇게 됐다면 대체 내 음료수는 어디에 놔둬야 되지??

 

 책은 이런 소유권에 관한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는 책이다. 내가 산 영화표의 가격에는 분명 영화가 상영하는 동안 좌석에 대한 소유권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소유권에는 과연 어느쪽 팔걸이에 대한 소유권까지 포함 되어 있는 것일까?

 

 아마 많은 사람들이 영화관에서 이런 불쾌한 소유권에 관한 문제에 맞닥드리더라도 참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사실 이 문제에 관한 해결책은 우리 모두가 알고 있다.

 

 영화표나 기타 약관에 어느 쪽 팔걸이가 고객의 소유인지 명확하게 표기를 하거나.

 

 모든 좌석이 양쪽 팔걸이를 가질 수 있도록 팔걸이 자체를 늘리면 된다.

 

 그러나 영화관을 운영하는 기업은 소유권을 모호하게 설정함으로써 팔걸이를 비용을 줄이고, 그 공간만큼 좌석을 더 설치해 이익을 늘리는 한편 불편한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분쟁의 해소를 소비자 혹은 현장을 관리하는 말단 직원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사실 책은 항공기 좌석을 예로든다.)

 

 책은 위와 같은 예로 우리가 흔히 마주칠수 있는 소유권에 관한 문제에 대해 여러가지 예를 언급하며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6가지 소유의 법칙을 제시한다. 선착순, 점유, 노동, 귀속, 자기 소유권, 상속이다. 이 단어들을 들었을 때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고개를 끄덕이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들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소유권을 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저자는 과연 이것들이 정말 우리의 소유권을 보장해주고 있을까? 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한정판 물건을 사기 위해 오픈런을 하고, 식사를 하기 위해 줄을 서고, 놀이기구를 타기 위해서도 줄을 선다. 선착순은 우리가 자연스럽게 이해 할 수 있는 소유권을 나눠가지는 방식었다.

 

 그러나 지금은 이것이 바뀌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돈을 주고 대신 줄을 설 사람을 고용하고, 미국의 대형 놀이공원은 돈을 더 내면 빠른 입장이 가능해졌다. 전화번호나 주소, 심지어 심각한 경우에는 주민번호 마자 이미 여러곳에 공유되고 있고, 이것보다 훨씬 매밀하다고 할만한 개인의 유전자 정보 조차 회사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고 있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

 

 물론 책에는 소유권에 관한 이런 부정적인 이야기만 늘어놓고 있지는 않다.

 

 소유권을 설정하는 방법을 변경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도 알려준다.

 

 그 중에서 기억에 남는 건 알래스카 킹크랩 어업에 관한 이야기이다.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일 중 하나라는 알래스카 킹크랩 잡이는 자연 환경적 요인 외에도 배에 탄 사람들을 위협하는 요소가 있었다. 바로 바다속 킹크랩에 관한 소유권을 획득하는 방법이다.

 

 원래 킹크랩은 한정 된 기간 내 바다에서 건져내는 순서대로 소유권을 가졌다. 일견 타당해보이긴 하지만 한정된 자원에서 선착순으로 건져내는 것이다보니 악천후나 기타 선박 결함등의 위험 요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박들은 출항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걸 선박당 소유권을 총량으로 규제 함으로서 안전을 확보하고 오히려 전체적 이익을 늘리는 일이 되었다. 과연 지금 우리사회에 온전히 내것이라고 확언 할 만한 것이 있기는 한 걸까?

 

 책을 읽은 후 내가 가장 먼저 한 생각이다.

 

 어떤 사이트나 어딘가 회원에 가입을 하면 내 정보는 금세 온갖 곳에 공유되고 휴대전화로는 스팸이 넘쳐난다.

은행 어플에 들어가면 마이데이터, 오픈뱅킹 등등 온갖 단어와 미사여구 당신에게 커다란 혜택을 줄 것처럼 이야기 하며 정보를 팔아 넘기라고 한다.

 

 스마트폰은 어떤가 내가 간 위치며 통화내역이며 온갖 내 개인적인 것을 캐내가기 위해 온갖 권한을 요구한다.

 

 세금, 월급, 복지 등 대부분의 문제는 소유권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 많다. 회사에서 혹은 여타 공동체가 만들어 낸 성과와 이익의 소유권은 누구의 것인지에 관한 논쟁은 오래도록 해묵은 것이다.

 

 그에 비해 우리는 소유권에 관해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것은 아닐까?

 

 그리고 끝으로 '남의 것도 내 것으로 만드는 소유의 법칙' 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는데 이건 좀 너무 마케팅 용으로 붙여 놓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