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대왕은 윌리엄 골딩에게 노벨 문학상의 영광을 안겨준 책이다. 요 근래 소위 고전문학쪽을 읽고 리뷰를 하다보니 노벨 문학상을 받은 작품을 읽는 일이 잦은 것 같다.
소설은 전쟁 중 영국에서 피난을 가던 비행기가 추락하여 무인도에 아이들만 살아 남으면서 이야기가 시작 된다. 아이들은 어른들이 사라진 세상에서 나름의 질서를 수립하고 무인도에서의 삶을 이어간다. 시작은 나쁘지 않았다. 돼지에 조언을 받은 랄프는 소라껍데기를 통해 권위를 확보하고 아이들의 리더가 된다. 아이들은 자신들을 통제하는 어른이 없다는 것에서 자유를 느끼며 그들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일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한다.
그러나 '구조'와 '생존'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지루하고 힘겨운 일에는 흥미를 잃어버리고 그런 일은 리더인 랄프와 몇몇 헌신적인 소년들에게 떠넘겨 버린다. 그리고 무인도에 추락할 당시 성가대를 이끌고 있었고 리더가 되고 싶었던 잭은 사냥과 고기를 통해 아이들을 유혹한다. 그리고 아이들이 괴물이라 믿는 존재가 하늘에서 떨어져 봉화대에 떨어지면서 아이들의 사회는 순식간에 변화하기 시작한다.
모임뿐이야. 모임만은 좋아하지. 매일 같이. 그것도 하루에 두번씩이나. 그저 말 뿐이야.
비유와 상징이 많이 사용된 소설이었다. 그리고 그것을 파악하는 것도 크게 어렵지 않은 소설이면서 다른 사람과 토론하기에도 좋은 소설인것 같다.
작중의 배경은 세계 2차 대전시기이고 서서히 그 위상을 미국에게 넘겨주던 시기긴 했지만 영국은 당대 최고의 문명국 중 하나였다. 그러나 그 이면을 한꺼풀만 벗겨보면 야만성이 가득하다는 것을 영국 아이들을 무인도에 표류하게 하면서 은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책의 말미에 잭이 무인도에 지른 불을 보고 섬을 찾아온 해군 장교는 랄프를 죽이기 위해 쫓던 아이들 무리를 보고 전쟁놀이를 하는 것쯤으로 치부고하고 나무로 깍은 창과 피와 진흙이 뒤섞인 분장을 얼굴에 한 아이들을 보며 문명인 답지 못하다는 은근한 비난을한다. 그러나 그것이 당시 어른들이 하는 일과 무엇이 크게 다른 일일까?
유색 찰흙으로 온통 몸뚱이에 줄무늬 색칠을 한 소년들이 손에 손에 뾰족한 창을 들고 모래 사장에 반원을 그린 채 잠자코 서 있었다.
랄프는 "영국의 소년들이라면 더 좋은 광경을 보여 줄 수 있었을텐데." 라고 말하는 장교에게 이렇게 대답한다.
"처음엔 그랬어요."
소위 고전명작으로 분류되는 소설들은 항상 전 시대에 공통적으로 고민을 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것 같다. 과연 인간의 본성이란 본디 어떤 모습인가? 도덕 시간에 한번쯤 들어보았을 이야기이다. 이 소설을 통제와 문명이 존재하지 않는 무인도에 '사회적 교육을 받고 나름 사연이 있는 어른들'이 아닌 '순수에 가까운 아이들'을 떨어뜨려 인간 내면에 품고 있는 '야만성'을 통해 성악설을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책의 말미에 어른인 해군 장교를 등장시킴으로서 '니들은 뭐 다를 줄 알아?' 라고 역설하는 것 같다.
그리고 찰흙과 피로 얼굴을 칠해 익명성으르 확보하고 무리를 이루어 진실을 이야기하는 사이먼을 죽이고 현실을 외면하는 모습은 현재의 인터넷 세상을 보는 것 같은 소름이 돋아 과연 소설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에 반박이 가능할까라는 생각이들게도 한다.
과연 일시적으로 문명이 사라지고 국가가 사라지면 모든 사람들이 야만적인 상태로 돌아갈까? 물론 그건 아닐 것이다. 랄프와 사이먼, 돼지 같이 그러지 않는 사람들도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그 상태가 계속 지속 됐을 때, 야만인처럼 변한 무리에서 계속해서 버텨 낼 수 있을까? 그때는 무엇에 의지를해야 할까?
'독서 노트 >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친코 - 이미진 (0) | 2022.05.31 |
---|---|
불편한 편의점 - 김호연 (0) | 2021.11.01 |
카인 - 주제 사라마구 (0) | 2021.06.10 |
뉴로맨서 - 윌리엄 깁슨 (0) | 2021.03.31 |
제 5 도살장 - 커트 보니것 (0) | 2021.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