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든 책이든 하나의 이야기를 두고도 사람들은 다양한 자신들의 의견을 내 놓는다. 영화는 두말할 것도 없이 굉장히 좋은 영화였다. 곳곳에 심어놓은 블랙 코미디적 요소와 관객을 빨아들이는 스릴감까지 굳이 무언가를 느끼거나 해석하려 들지 않고 순수하게 이야기를 즐기기에도 충분한 영화였다고 생각한다.
빈부의 격차, 계급의 격차 등등 다양한 단어들이 영화를 보는 사이 스쳐지나갔지만 나의 뇌리에 가장 깊게 남은 것은 바로 '집' 이었다.
올해부터 익숙하게 지내던 도시를 떠나 또다시 홀로 지내게 되었고 얼마전에야 원룸을 구해 내 몸하나 편히 뉘일 수 있게 된 탓일지도 모르겠다. 부모님의 품에서 벗어난지는 꽤 오랜시간이 지났지만 직접 살곳을 고르고 부동산 계약을 맺은 것은 처음이었던 탓에 굉장히 기억에 남는 강렬한 경험이었따.
방을 고르고 최종 계약을 맺고 잔금을 넣기까지 끊임없이 머릿속을 맴돈 생각은 세상 누군가는 '인생에 돈이 전부가 아니다' 라고 할지 모르지만 집에는 돈이 전부였다. 밝은 햇살도, 깨끗한 공기도, 편히 쉴 수 있는 조용함도 다 돈으로 계산 되어 있었다.
영화의 메인이 되는 두 가족의 집은 두 가족 구성원들의 성격만큼, 두 집의 위치 차이만큼 대비된다. 반지하의 기택(송강호 분)의 집은 아직 날이 밝은 날에도 술주정뱅이가 오줌을 싸고 소란을 피우는 소리가 들리지만, 부촌으로 보이는 언덕 주택가의 박사장(이선균 분), 연교(조여정 분)의 집은 작은 숲으로 둘러 쌓인 채 나뭇잎이 사그락 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폭우가 쏟아지는 밤, 박사장의 아들 다송이가 장난감처럼 정원에 설치하고 잔 인디언 텐트조차 비가 새지 않지만 기택의 반지하집은 어깨까지 물에 잠긴다.
비가 그친 다음날도 마찬가지다. 박사장의 집에 찾아온 사람들은 비가내려 미세먼지가 사라져서 다행이라 날씨를 평가하며 갑작스러운 모임속에서도 즐겁고 밝은 모습을 연출하지만, 똑같은 폭우로 인해 우연히 체육관에 모이게 된 기택의 이웃들은 생존을 위해 주위 사람들에게 악다구를 퍼붓는다.
이렇듯 계획이 틀어지는 모습도, 무계획적으로 실행한 일의 결과물도 너무나도 다른 모습이다.
다만 이 두 집엔는 한가지 공통점이 있다. 모습은 다르지만 기생충을 키운다는 것이다. 기택의 집에는 밤에 불을키면 재빠르게 숨는 바퀴벌레와 곱등이를 박사장의 집은 근세가(박명훈 분) 있다. 분명 모습은 다르지만 집주인의 눈을 피해 살아가고 집주인이 남긴 찌꺼기를 먹으며 살아간다.
그럴듯한 말과 꾸밈으로 박사장의 가족을 속였던 기택의 가족이었지만 결국 숨길 수 없었던 것은 그들의 냄새였다. 기정(박소담 분)이 반지하 냄새라 말한 것을 박사장은 '지하철에 가끔 탈 때 나는 냄새' 라고 표현한다.
실제로 이른 아침부터 지하철을 타고 영화를 보러갔던 나를 움찔하게 했던 말이었다. 감독이 마치 '넌 아니라고 생각하지?' 라고 말을 거는 기분이었다.
기택이 근세에게 '넌 아무 계획도 없지.' 라고 소리치며 깔보는 듯 소리쳤지만 박사장의 입장에서는 둘 다 똑같은 지하철 냄새 일 뿐이고, 이 냄새는 차 안에서는 선을 넘어와 불쾌하게 만들고 위험한 순간에도 코를 막게한다. 그리고 막 쇼핑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는 연교의 발에서 나는 냄새보다도 지독하다. 근세는 박사장을 향해 리스펙을 외치지만 박사장은 자신의 집에서 4년 동안 숨어 산 이의 존재를 전혀 눈치채지 못한다.
이 인간적 모멸감을 참지 못한 극중 인물들은 두 가지 선택을한다. 기택은 원래의 숙주를 죽이고 다음 숙주를 기다리며 숨어든다. 기택의 아들이자 모든 일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기우(최우식 분)는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무엇보다도 돈을 벌기로 결심한다.
여러모로 많은 생각을 떠올리게 해주는 영화였다.
요즘 많은 이들이 다른 이들을 'XX충' 이라 욕을한다. 무엇이 가난한자들이 계획하기를 포기하고 부자들이 주는 부스러기에 만족하며 살게 만들었을까. 왜 모든 것을 포기하고 열심히 일을 해 돈을 모아도 집을 사는 것은 꿈만 같은 일이 되어 버렸을까?
그리고 가장 소름돋는 건 왜 이 이글을 쓰고 있는 난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걸까? 그들이 보기엔 다 지하철 냄새가나는 사람일 뿐일지 모르는데?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라쇼몽 - 구로사와 아키라 (2) | 2018.10.21 |
---|---|
채피 - 인간에 대한 의문 (1) | 2018.04.29 |
민주주의의 의미 영화 '1987' (1) | 2018.01.14 |
5.18 그리고 광주 '택시운전사' (0) | 2017.08.05 |
전쟁터 속에서의 생존과 공존 '덩케르크' - 크리스토퍼 놀란 (0) | 2017.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