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는 생각하지 마'의 저자로 유명한 레이코프의 책이다. 새로운 내용을 담고 있기 보다는 코끼리는 생각하지마에서도 나왔던 '프레임' 이라는 주제를 대담 형식으로 엮어낸 글이다.
대부분은 사람들은 (나를 포함하여) 어떤 사건이나 누군가의 의견에 대해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의사결정을 내린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책에서는 단언하다시피 그렇지 않다고 이야기한다. 우리는 개인적 혹은 문화적 경험을 토대로 마음속에 변별적인 구조를 습득해왔고 대부분의 사고를 무의식적으로 행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언제나 은유를 통해 사유하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 사실을 거의 의식조차 못 하죠. 예컨대 추상적인 개념에 대해 은유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쉽게 추론하거나 말할 수 없습니다.
다들 문학시간에 한번 쯤, 들어보았을 은유는 영어로는 메타포라고 한다. 의외로 생각지도 못하게 이 메타포란 것이 우리 주변 곳곳에서 사용된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자면 올해 있었던 월드컵과 아시안컵 축구를 떠올려보자. 언론에서는 흔히 축구를 전쟁의 이미지로 은유한다.
수 많은 스타플레이어들이 한 경기장에서 뛰는 것을 빗대어 '별들의 전쟁' 이라 말하고 독일 국가대표팀은 '전차 군단' 브라질 대표팀은 '쌈바 군단' 등 온갖 대표팀의 별칭에 '군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뛰어난 감독에는 '명장'이라는 용어를 붙여 축구장과 각종 승패가 나뉘는 경기를 전쟁으로 은유하고 우리도 쉽게 이를 받아 들여 사용한다.
중, 고등학생 시절 문학 시험문제로 나오면 무척이나 어려운 문제지만 이처럼 이미 우리 주변에는 은유가 넘쳐난다. 다만 저자의 말대로 우리가 의식하지 못할 뿐이고 이 은유는 문화권 등에 따라 전혀 상반된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책에서 진보와 보수를 구분하는 방법도 재미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밤 중 아이가 울 때 안아주면 진보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이고 안아주지 않으면 보수적인 성향으로 묘사한다. 진보는 다정한 어머니의 이미지, 보수는 엄격한 아버지의 이미지를 준다.
정치권에서는 은유를 이용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프레임을 생성하고 언론을 이용해 이것들을 강화 해나간다. 프레임은 일종의 생각을 틀이다. 많은 사람들이 부정하긴 하겠지만 복잡하게 생각하는 것을 싫어한다. 서두에서 말했다시피 사람들은 개인적, 문화적 경험에 기반하여 대부분의 무의식적으로 결정하고 행한다.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면 혹시 주식이나 펀드 혹은 보험을 들면서 어떻게 했는지를 떠올려보자.)
저자는 이런 유권자들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프레임을 생성, 강화하는 언론의 역활을 강조했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언론의 말을 그대로 쉽게 받아 들일게 아니라 귀찮더라도 머리를 굴려야 할 것 같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라는 말이 괜히 생긴건 아닌것 같다.
'독서 노트 > 인문(사회,정치,철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마제국 쇠망사 - 에드워드 기번 (0) | 2018.12.02 |
---|---|
직업으로서의 소설가 - 무라카미 하루키 (0) | 2018.10.07 |
잃어버린 헌법을 위한 변론 '헌법의 풍경' - 김두식 (0) | 2018.09.25 |
살기 도시에 대한 생각 '어디서 살 것인가' - 유현준 (0) | 2018.09.02 |
베트남 전쟁 - 잊혀진 전쟁, 반쪽의 기억 (박태균 저) (0) | 2018.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