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책은 사실 다 읽기는 했는데 잘 모르겠다. 사실 뭐라고 리뷰를 남겨야 할 지 당황스러운게 솔직한 나의 심정이다. 무슨 내용인지 사전 정보가 전혀 없이 읽기 시작한 책이 읽는 내내 답답한 기분을 느끼게 해주었다. 이 책 바로 이전에 읽었던 '82년생 김지영'을 읽을 때와 같이 나에게는 완전히 미지의 세계이기 때문일까? 그리고 다 읽고 난 후에는 흔한 레즈비언의 사랑에 관한 소설 아닌가? 라고 생각했지만 저자 후기에 보니 이 책이 나온것이 1950년 대 라는 점에서 굉장히 놀랐다.

 

 요즘에야 BL 소설도 흔한 세상이지만 1950년에 성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을 상상해보곤 이 책이 출판 된 것이 대단하다는 생각과 이 책이 이쪽 계통 소설에서 처음으로 헤피엔딩으로 끝났다는 사실에 또한 번 놀라움을 주었다.

 

 힘겹게 살아가는 테레즈는 무대 연출을 꿈꾸는 절은 여인이다. 그에 비해 캐롤은 이미 아이를 하나 두고 있는 지금은 남편과 이혼을 준비중인 부잣집 여인이다. 이 둘의 만남은 꽤나 극적이라면 극적이고 평범하다면 평범하게 이루어진다.

 

 스스로가 상류층임을 과시하듯 거만하고 아름다운 캐롤과 성인이지만 마치 여전히 덜 성숙한 아이같이 자신이 가지고 싶어하는 것이 생기면 그것만 바라보고 생떼를 쓰는 테레즈의 사랑은 이색적이다. 그리고 그들의 사랑을 바라보는 타인의 시선도 마찬가지이다.

 

 그 둘의 사랑을 비난하는 리처드, 질투를 하는 애비, 그건 개인의 취향이나 사적인 공간으로 취급하는 데비, 그리고 그 둘의 살아을 이용하려는 많은 사람들 하지 등 이들을 바라보며 느낀 감정은 우리가 여전히 성소수자들을 대하는 시선이 이때나 지금이나 별로 다르지 않은 것 같다는 것이 었다. 그리고 이 둘의 사랑뿐만 아니라 남성들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도 담겨있다.

 

 찬찬히 읽고 생각을 정리해보면 꽤나 재미있는 책이었다. 치밀한 심리 묘사와 몸만큰 어린아이였던 테레즈가 진짜 어른이 되어 가는 과정을 보는 것도 꽤나 흥미롭니다.

 

 책을 읽고 내린 최종 결론은 그들의 사랑도 그저 우리가 평범하게 생각하는 남자와 여자의 사랑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물론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첫눈에 눈에 불 꽃이 튀기듯 하여 사랑에 빠지고 조심스럽게 서로의 마음을 확인해 가는 과정과 갈등까지 책을 읽는 동안은 요즘 사랑 같지 않아 답답하기는 하지만 정말 평범한 사랑이다.

결국 성적 취향도 사랑을 이루는데는 어찌보면 하나의 장애물(마치 성격이나 금전적 문제와 같은)일 뿐이다 라고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이 책 전에 이와 비슷한 주제로 나온 것 중 가장 최근에 본 것이 '아가씨' 였다. 비록 장르가 다르긴 하지만 아가씨가 굉장히 아름답고 화려한 수채화 같은 풍경이었다면 이 책은 흔한 과일 바구니를 그린 정물화를 보는 기분이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