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소설을 한편 완결을 내보는 것이 내 버킷리스트 중 하나이다. 순수문학도 좋겠지만 개인적으로는 판타지와 같은 장르문학을 쓰고 싶다. 온전히 나의 상상력으로 창조된 세계를 가져보고 싶다랄까? 사실 순수문학보다 좀 더 쉽지 않을까라는 얄팍한 마음이 없지 않아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사실 이게 쓰려고하면 쉽지가 않다. 내가 재능이 모자란 걸 수도 있겠지만 머릿속으로는 등장인물, 사건의 배경, 기승전결까지 완벽하게 구상했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글을 쓰기 시작하면 그 동안 생각해놓은 것은 온데 간데 없이 처음부터 시작하는 기분이 든다.
이 책은 그런 막막함을 조금이나마 줄여보고자 읽은 책이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내가 직접 글을 쓰는 것보다는 남의 글을 읽고 마음대로 평가하는 건 굉장히 쉬운 일 같다.
책은 어떻게 이야기를 시작 할 지부터 퇴고를 거쳐 엔딩에 이르는 부분까지 다루고 있다. 간단히 결론만 말하면 도움이 되었을까? 일부 도움이 되긴 했지만 다시 글을 써보려고 할 때면 다시 리셋된 기분이다. 마치 주식투자에 관한 책이나 자기개발서를 읽고 난 후 느낌과 비슷하다. 책을 덮을 무렵에는 "좋았어! 나도 할 수 있겠어!" 라고 외치지만 막상 하려고 보면 뜻대로 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책은 소위 대문호들의 글쓰기 방식이나 의견을 다루는데 그 의견과 방식들이 너무 다양하다. 스티븐 킹은 플롯 따위는 필요 없다고 하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플롯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 중에 기억남는 몇가지 구절들을 소개하겠다.
'설명'만큼이나 '(글의) 생명'을 죽이는 것도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독자를 신뢰할 것.' 대화를 쓸 때 작가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고, 그 신호를 받는 독자 혹은 청중은 자신이 진짜 말을 듣고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이야기를 위해, 결말을 찾고자 독서한다. 독서 그 자체를 위해 결말에 도달하려고 하는 게 아니다.' 중요한 건 그 '방법'뿐이다.
산문에 운문이 눈에 띄게 들어가서는 안 된다. 최고로 훌륭한 열정적 산문에는 눈에 쉽사리 띄지 않는 운문이 숨어 있기 마련이고, 이것은 우리에게 정확히 간파당하지 않는 이상 즐거움을 선사한다.
아까도 말했지만 이 책을 읽고 난 이후로도 글은 여전히 진도가 나가지 않고 앞으로 나아갔다 뒤로 물러섰다를 반복한다. 글쓰기에 정말 특별한 재능이 없다면 결국은 '다독, 다작, 다상량' 이라는 옛사람들이 말이 가장 옳은 방법론 일 수도 있을 것 같다.
'독서 노트 > 인문(사회,정치,철학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먼카인드 - 감춰진 인간의 선한 본성을 찾아서 (0) | 2021.08.16 |
---|---|
징비록 - 류성룡 (0) | 2020.07.23 |
대항해시대의 탄생 - 송동훈 (0) | 2020.06.04 |
노동, 성, 권력 - 무엇이 인류의 역사를 바꾸어왔는가 - 윌리 톰슨 (0) | 2020.05.25 |
'믿어야하나 말이야하나' 타인의 해석 - 말콤 글래드웰 (0) | 2020.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