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나 다니엘 블레이크' 이전 글에서 소개했던 '보리밭을 흐드는 바람' 에 이어 또다시 켄 로치 감독에게 황금종려상의 영광을 안긴 영화이다.
왠지 음울해보이는 겨울의 뉴캐슬을 배경으로 평범한 시민이자 노동자였던 다니엘 블레이크의 모습에서 아직은 젊기에 별달리 고민되지 않았던 과연 복지란 시민으로써의 당연한 권리인가 아니면 국가에서 불우한 이웃들에게 배푸는 시혜인가에 대해서 고민하게 해준 작품이었다.
2.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성실한 목수로 살아가던 다니엘 블레이크가 갑작스러운 심장병으로 인해 더 이상 일을 할 수 없게되며 질병수당을 청구하기 위해 상담을 하는 모습에서 시작된다. 다니엘의 담당의사는 일단 치료는 끝났지만 아직까지 일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한다. 그렇지만 질병수당을 지급 여부를 심사하는 의료전문가는 심장과는 전혀 관계없는 질문을 하면서 다니엘에게 아직 일 할 수 있음으로 질병 수당을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다니엘이 무려 52쪽에 이르는 질문지에 대답을 하고 당신이 나의 주치의 보다 나의 건강 상태에 대해서 잘 아느냐고 소리치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차갑기 그지 없다.
결국 다니엘을 질병수당 심사에서 탈락하고 만다. 당장 수입이 끊어지면 생계가 어려워지는 다니엘은 항소를 하려고 하지만 그 역시 지난하기 짝이 없는 작업이다. 익숙하지 않은 컴퓨터와 인터넷, 걸려오지 않는 담당관의 전화, 프로세스와 규칙을 들먹이며 사람들을 차갑게 대하는 공무원들 다니엘은 이 모든것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다니엘은 항의하기 위해 찾아 갔던 사무소에서 이주 싱글맘인 케이티를 만난다. 케이티 역시 어떤 수당을 받기 위해 찾아 왔지만 익숙치 않은 길로 인해 약간 지각을 했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당한다. 당장의 아이들 전학비용이 필요한 케이티는 격렬이 항의하지만 담당자는 차갑게 자신들의 프로세스와 룰을 설명해 줄 뿐이다. 어쩌면 사람들과 가장 가까워야 할 복지 분야에서 조차 인간보다 우선되는 것은 프로세스이고 비용이었다. 이에 화가난 다니엘이 끼어들면서 다니엘과 케이티의 두 아이는 인연을 맺게 된다.
등장인물의 삶은 뉴캐슬의 을씨년한 날씨만큼이나 우울하기 짝이 없다. 다니엘의 옆집에 사는 다니엘이 차이나라고 부르는 청년은 창고에서 열심히 일하지만 겨우 푼돈만 받을 뿐이고 케이티는 두 아이를 위해 몸을 팔기까지 한다. 목수였던 다니엘의 집안에 있던 고풍스러운 그리고 아내와의 추억이 긷들어 있는 가구들은 하나 둘씩 팔려나간다.
결국 지쳐버린 다니엘은 그들이 정상적인 방법이라 이르는 프로세스로는 더 이상 일이 진행되기 어렵다고 느낀 다니엘은 그들이 말하는 규칙에 위배되는 일을하며 결국은 항소에 이르게 되는데...
3. 복지는 시민의 권리인가, 국가의 시혜인가.
내가 가장 싫어하는 말이 있다. 바로 무상복지, 무상급식, 무상xx 등 이다. 소위 우리나라의 보수라는 인물들이 만들어낸 말도 안되는 용어 이자 프레임이다. 대체 무상복지, 무상급식이 어디 있다는 말인가. 다 우리가 세금으로 이미 지불한 비용이다. 다만 그 쓰임새가 다른 곳이 아니라 복지와 아이들의 급식일 뿐이다.
차가 몇대 다니지도 않는 곳에 도로도 깔고 몇 되지 않는 군대의 간부들을 위해 골프장도 지으면서 왜 대부분의 사람들이 받을 수 있는 복지에 대해 그리도 비판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물론 이런 부분에만 무절제하게 사용하는 것은 분명 경계하고 지탄 받아야 할 일이지만 이것들은 분명 납세의 의무를 충분히 치러낸 일반 시민으로써 충분히 요구 할 수 있는 권리라고 생각한다.
복지에 사용되는 돈들은 결코 눈 먼 돈이 아니고 우리는 그것의 단순한 수혜자가 아니다. 국가와 정치인들이 우리에게 복지를 베푸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스스로의 권리를 실현 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니엘은 정당한 자신의 권리를 찾으러 갔으나 그를 대하는 인물들은 마치 그들이 선심을 쓰는 듯 말을 하기 시작한다. 사회적 약자를 위해 만들어진 복지 시스템이 사회적 약자들을 배척하는 듯 온갖 어렵고 복잡한 프로세스만 가득하고 그를 대하는 이들의 태도는 고압적이기 짝이 없다.
4. 프로세스가 먼저인가? 사람이 먼저인가?
사실 이 문제는 쉽게 무엇이 우선인가를 이야기 할 수 없는 부분이긴다. 회사에 소속되어 일하는 노동자라면 다들 한번쯤은 고민을 해 보았을 문제이다. 어떤 이들은 일이 되게 하는게 우선이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고 어떤 이들은 프로세스를 한번 어기기 시작하면 두번어기는 것은 쉽게 결국에는 엉망이 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미 시간이 좀 흐르기는 했지만, 세모녀 사건 역시 프로세스와 룰이 우선되다보니 생긴 일일 것이다. 조직이 크면 클수록 그 속에 속한 사람은 개인의 판단과 양심보다는 조직의 프로세스에 종속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다니엘을 돕는 것은 국가라는 거대한 조직이 아니라 그의 이웃들이다. (사실 요즘 같은 사회에서 이것도 상당히 이상적이다.)
5. 마치며
영화가 끝날 때,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다니엘이 남긴 편지였다.
나는 의뢰인도 고객도 사용자도 아닙니다. 나는 게으름뱅이도 사기꾼도 거지도 도둑도 보험 번호 숫자도 화면 속 점도 아닙니다. 내 이름은 다니엘 블레이크입니다. 나는 개가 아니라 사람입니다. 그렇기에 내 권리를 요구합니다. 나는 요구합니다. 당신이 나를 존중해 주기를. 나는 한 명의 시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2 - 우주에서 가장 쿨한 영웅들! (0) | 2017.05.05 |
---|---|
특별 시민 (스포 有) (0) | 2017.05.01 |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0) | 2017.03.23 |
세상의 끝까지 21일 (0) | 2017.03.08 |
헥소 고지 - 전쟁 속에서의 개인의 신념 (0) | 2017.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