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의사소통을 위해서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는 언어다. 언어는 감정을 전달하고, 생각을 공유하고, 지식을 전달하는 데 필수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이 지구에만 해도 수 많은 다양한 언어가 존재하고 있다. 어떤 언어들은 사용되지 않아 점차 소멸의 길로 들어서지만, 한국어, 영어, 중국어 등등 대충 꼽아보아도 두 손가락으로 모두 세기는 힘든 것 같다.
여행을 갈 때,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문화권으로 간다면 말이 제대로 통하지 않는 상황과 마주한다. 이럴 때에는 약간의 뻔뻔함과 이런저런 몸짓, 때로는 자본주의의 힘으로, 요즘에는 AI 기술 같은 걸로 상황을 쉽게 상황을 바꿀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상황이 우주에서, 우리와 완전히 다른 신체 구조와 문화를 가진 외계 생명체를 만나게 된다면? 대체 어떤 수단을 사용해서 첫 인사를 나눠야 할까?
들어가며
이 책은 '마션'의 작가 엔디 위어의 또 다른 장편 소설이다. 장르는 SF소설로 주인공이 과학자인 관계로 과학적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지만, 그렇다고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운 정도는 아니었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과학적인 내용과 그레이스라는 인물의 서사를 흥미롭게 풀어내며 가볍게 읽거나 듣기 좋은 책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과학자'라는 직업이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라이언 고슬링 주연으로 영화화도 이루어진다고 하는데, 그가 연기하는 그레이스의 모습이 상당히 기대된다.
줄거리 요약
주인공인 그레이스는 기억을 잃은 상태에서 낯선 장소에서 깨어난다. 그의 자신의 이름이 기억 나지 않고, 제대로 걸을 수도 정도로 몸도 기억도 완전히 엉망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는 천천히 몸을 회복하고 기억을 되찾는데…
그가 있는 곳은 바로 우주이고, 그는 아스트로파지로부터 지구를 구하기 위해, 다시 지구로는 돌아 갈 수 없는 자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해낸다.
그레이스는 다른 두 명의 동료 승무원들이 이미 죽었음을 알고, 홀로 남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타우세티로 향한다.
그러던 중, 낯선 외계 우주선이 나타난다.
그곳에서 그레이스가 록키라고 이름을 붙인 외계인 공학자와 조우하게 된다.
그들은 아스트로파지의 비밀을 풀고 각자의 행성을 구할 수 있을까?
그리고 그레이스는 왜 기억을 잃었을까?
마치며
개인적으로 엔디 위어의 '마션', '아르테미스', 그리고 이번에 리뷰를 쓰고 있는 '프로젝트 헤일메리' 모두가 재미있는 책이었다다. 과학을 소재로 이렇게 이야기를 가볍고 재미있게 풀어나가는 작가가 또 있을까 싶다.
작가 특유의 과학자 너드와 유머, 그리고 뜬금없는 것 같은 소설의 시작, 그리고 외계인 엔지니어와 지구인 과학자가 벌이는 만담 아닌 만담도 책을 듣는 내내 즐거운 대목이었다.
이야기가 진행되는 동안 하나씩 떠오르는 기억들을 쫓아가는 방식은 책에 더욱 몰입할 수 있는 구성이었다.
가장 인상적인 내용은 우주선에서 홀로 깨어난 그레이스가 우주에서 외계인과 조우하여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그레이스는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적극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약간 거리를 두려고하는 내향인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외계인과의 조우 후에는 그의 흥분하는 모습, 그와의 관계를 맺고 우정을 쌓는 모습, 그리고 지구를 구하는 임무 때문에 자신의 취미 생활을 방해 받는다며 투덜거리는 모습은 과학자의 탐구욕과 광기를 보여주는 것 같았다.
그레이스가 록키와 처음 만났을 때, 그들 사이에는 언어의 장벽이 있다. 그러나 그들은 과학의 보편성을 통해 의사소통의 길을 찾아낸다. 작가는 이를 통해 이는 과학이 단순히 실험과 이론 뿐만 아니라 인간과 외계인 사이의 언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싶었던 것일까?
이 책의 또 다른 매력 포인트는 그레이스가 인간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인 것 같다.
물론 그는 원래 선한 사람이라고 할 만하다. 학자 시절 주류 과학계에서 인정 받지 못해 교사가 된 그레이스가 프로젝트를 준비하며, 특히나 록키를 만나 인정받고 격려 받으며 정신적으로 성숙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문제해결을 위해 과학적 사고로 계속해서 가설을 세우고 실험을 하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모습에서 과학이 얼마나 매력적이고 아름다운 것인지를 잘 보여주는 소설이었던 것 같다.
같이 읽어보면 좋은 글
'독서 노트 >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 코맥 매카시 (2) | 2024.06.21 |
---|---|
인생과 선택 '모순' - 양귀자 (1) | 2024.05.31 |
인간의 욕망은 무엇으로 어디까지 허용될까 '테스터' - 이희영 (2) | 2024.04.27 |
'매력적인 세계관을 가진' 소설 지하정원 - 홍준성 (0) | 2023.09.11 |
기억 전달자 (the giver) - 삶에 있어서 기억과 감정은 어떤 의미일까.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