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크를 연상시키는 커다란 몸집과 골격, 누더기를 기워 놓은 것 같은 바늘 자국이 무수히 많은 창백한 피부, 각진 턱, 관자놀이에는 커다란 볼트가 박혀 있는 괴물. 내가 프랑켄슈타인을 읽기 전 프랑켄슈타인에 대해서 가지고 있던 이미지이다.
아마 많은 사람들 특히나 30대 이상(?)에서는 프랑켄슈타인이라 하면 이 이미지를 떠올리는 사람이 꽤나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충격적이라면 충격 적이겠지만 원작에 등장하는 프랑켄슈타인은 내가 알고 있는 이미지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프랑켄슈타인은 괴물이 아니다.
프랑켄슈타인은 '빅터 프랑켄슈타인' 이 풀네임으로 책에 등장하는 생명체를 만들어 낸 창조자의 이름이다. 책에서 빅터에 의해 창조 된 생명체는 그 등장부터 책이 끝나는 순간까지 이름도 부여받지 못한 채 사라진다. 그리고 그에 관한 묘사도 덩치가 크고 그저 끔찍한 모습이라고 반복적으로 묘사 될 뿐, 모습에 대한 정확한 묘사는 없었던 것 같다.(그저 내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과학을 발전시키고 세상을 좀 더 좋은 곳으로 만들겠다는 열정으로 당시의 금기를 어겨가며 생명체를 탄생시킨 빅터는 자신의 창조물의 끔찍한 모습에 질려 그를 버려두고 달아난다. 그러나 빅터는 죄책감과 고통에 시달린다.
겨우 그것에서 벗어나 고향인 제네바로 돌아갔을 때는 동생의 죽음을 전해 듣게 된다. 자신이 버렸던 창조물의 복수였다. 복수를 위해 창조물을 쫓던 빅터는 그와 조우하게 되고, 빅터에게 버림받은 이후 그가 겪었던 과거를 듣고 복수의 고리를 끊을 방법에 대해 합의를 하지만 결국 빅터가 다시 한번 그를 버림으로써 창조자와 창조주의 쫓고 쫓기는 복수극이 계속해서 이어진다. 빅터에 의해 창조 된 '그'는 이 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실낙원'의 아담과 이브처럼 자신의 창조주에게서 버려진다. 물론 훨씬 더 과격하게. 심지어 창조주의 종족보다 신체적으로 우월할 뿐만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우월한 모습을 드러낸다.
힘이 센건 말할 것도 없고, 짧은 시간에 문자와 말을 배우고 사용하는 학습 능력뿐만 아니라 남을 도울 수 있는 이타심과 자신에게 피해를 준 사람들을 용서 할 수도 있는 아량도 가지고 있었다. 그에게 없는 것은 단지 인간과 같은 외모 뿐이다. 때문에 자신이 몰래 숨어서 훔쳐보고 배우던, 프랑스인 가족 중 눈이 먼 아버지에게서는 여느 평범하고 선량한 인간의 대접을 받지만 아들을 비롯한 다른 가족들에게서는 대화의 기회조차 가지지 못하고 쫓겨난다.
책을 보며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다. 금기를 어기고 새로운 창조물을 탄생시키고자 하는 빅터의 열정어린 모습은 마치 A.I와 로봇을 연구하는 현대의 과학자나 기업가들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 발전하는 그것들의 모습을 보며 우려를 표하는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누군가의 말처럼 이미 거대한 자본금이 계속해서 투입되고 굴러가기 시작한 일을 멈추는 것은 불가능 할 것이다.
이제는 옛날 이야기처럼 되어린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결 이 후 이세돌 9단은 은퇴를 했다. 그는 나중에 한 토크쇼에서 은퇴의 이유를 밝히며 자신은 바둑을 단순히 이기고 지는 게임이 아닌 예술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인공지능이라는 절대자의 등장으로 그것은 더 이상 예술이 아니게 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뉘앙스의 말을 했다.
예술에 관한 정의는 개인별로 천차만별일테지만 일반적으로 예술이라 여기는 미술 등의 분야에서도 AI의 활약이 두드러지게 드러나고 있다. 어쩌면 인간이 우월 하다고 믿고있는 창작의 영역이 오히려 더 빠르게 추월 당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의구심이들 정도이다.
그리고 언젠가 그것들이 우리를 뛰어 넘었을 때, 우리는 어떤 표정으로 그것들을 바라보고 있을까? 산업혁명이 일어났을 당시 기계에 밀려 일자리를 잃은 많은 노동자들이 ‘러다이트 운동’을 벌이며 기계를 파괴했다. 기계들은 인간의 손에 의해 파괴되는 동안 아무런 불평불만도 하지 못했다.
하지만 미래에도 인간보다 인간적인 가치라 믿었던 것을 더 잘 수행하는 피조물이 그런 자신을 미워하는 창조주 인간들에게 아무런 불평불만을 제기하지 않을거라 확언 할 수 있을까?
'독서 노트 >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 전달자 (the giver) - 삶에 있어서 기억과 감정은 어떤 의미일까. (0) | 2023.03.25 |
---|---|
백만장자를 위한 공짜 음식 - 이민진 저 (1) | 2023.03.03 |
파친코 - 이미진 (0) | 2022.05.31 |
불편한 편의점 - 김호연 (0) | 2021.11.01 |
인간의 내면의 야만성에 대해 '파리 대왕' - 윌리엄 골딩 (0) | 2021.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