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제목인 '금수' 는 수 놓은 비단 또는 화려한 옷감이나 직물을 뜻한다. 사실 처음에 책을 살 때 정확한 제목의 의미를 몰라서 짐심을 뜻하는 금수인 줄 알고 인간 이하의 살인마가 나오는 그런 이야기로 상상하기도 했다. (사실 그러기엔 표지가 어울리지 않기는 하다.)
아무튼 왠지 가을과 잘 어울려 보이는 책 표지와 함께 혹시 가을을 맞이하여 외로워 하고 있을 솔로나 얼마 전 헤어진 여인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책이다.
얼마 전 읽고 글을 섰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과 사랑을 바라보는 관점이 많이 다른 것 같아 흥미롭다. 그리고 내가 20살 시절이었으면 모를까. 지금은 사실 이 책이 더 공감이 가는 것 같은게 사실이다.
2. 책의 내용
극단적으로 단순히 이야기 하면 이혼한 두 남녀가 단풍이 절정으로 물든 가을에 우연히 만나 장문의 편지를 주고 받는 내용의 책이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아키와 아리마는 10년 전 이혼을 했다. 그 이유는 아리마가 호스티스인 유카코와 바람이 났다가 그녀에 의해 자살을 당할 뻔 했기 때문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두 사람은 이혼을 하게 된다. 두 사람의 의지였다기 보다는 아리마의 아버지에 의해 이혼을 당했다고 표현하는 것이 옳았을 것이다.
그로부터 10년 후 재혼을 하고 선천적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아이의 엄마가 된 아키는 아들과 함께 우연히 여행을 가던 중 아리마와 마주치게 된다. 아키는 주소를 물어 물어 아리마에게 편지를 보내게 되고..둘은 장문의 편지를 주고 받으면서 서로가 모르던 과거와 현재의 이야기를 편지로 주고 받게 된다. 유카코와 아리마의 관계, 이혼 후의 사정 등을 서로 주고 받는게 주요 내용이다..
3. 마치며
책은 특별하게 시작해서 평범하게 끝이난다. 이것이 책에서 말하고 싶은 사랑의 모습이 아닐까?
대체 사랑이란 무엇이고 이별이란 무엇일까? 어쩌면 우리는 만난지 얼마 되지 않아 서로 잘 모르는 사람을 열열히 사랑하며 서로를 포용하지만 오히려 서로에 대한 알아가는게 많을 수록 서로에 대한 이해력과 포용력이 떨어지는 것다. 그러다 서로에 대한 정보의 공백을 채 메우지 못 한채 타의에 의해 헤어진다면 그 혹은 그녀에 대한 환상이 낙인처럼 남아 오래도록 사랑에 대한 여운이 남는같다. 추억이라는 모양 대신 환상이 남는 지도 모르겠다.
환상이 사라지면 사랑은 평범 해진다. 삶을 기쁨으로 가득 채우던 서로에 대한 사랑이 더 이상 특별한 것이 아닌 일상이 되고 헤어지면 그저 추억으로 남을 뿐이다. 무언가 깊은 비밀을 간직하고 영원히 특별 할 것만 같던 사랑도 그저 세상에 흔히 존재하는 평범한 것이 된다는 것을 저자는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왠지 이 책을 보고 나니 일본영화인 '러브레터'와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 가 생각난다.
'독서 노트 >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토 - 장폴 사르트르 (0) | 2016.11.27 |
---|---|
립반윙클의 신부 - 이와이 슌지 (0) | 2016.10.29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괴테 (2) | 2016.09.24 |
<이반 일리치의 죽음> - 톨스토이 (0) | 2016.09.17 |
독재에 대한 풍자 '동물농장' - 조지오웰 (0) | 2016.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