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문제가 생겼을 때 해결을 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일까? 그건 바로 전문가에게 물어보거나 해결을 요청하면 된다. 다만 보통 그런 전문가들에게 물어보거나 해결을 요청하면 돈을 요구하니 돈이 부족한 우리는 공부를 하거나 시간을 들여서라도 직접 해결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경제에 문제가 생겼을 때는 어떨까? 경제학자에게 문의를 하면 다 해결이 될까? 나의 이 얇디 얇은 지갑도 해결 해 줄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그럴리가 없다. 돈과 경제에 관해서라면 왠만한 전문가라도 우리의 문제를 해결 해줄 수 가 없을 것이다. 심지어 그건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학자라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렇다면 22명의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인물들의 이론을 간결하게 풀어놓은 이 책을 왜 읽어야 하는 것일까?
이 책을 읽기를 추천하는 이유가 있다면?
1. 수요와 공급 법칙에서 벗어나 경제학을 좀 더 심도있게 파고 싶지만 아직은 가볍게 접근하고 싶을때
2. 경제학적인 생각과 시야란 무엇일까?
내 마음대로 고른 주요 Keyword
1. 노벨 경제학 상을 받은 학자들
사실 이게 정확히 맞는것 같지는 않다. 생각보다 경제학자가 아닌 사람들이 노벨 경제학상을 많이 받는다. 이 책에서도 분명히 본 것 같은데...
아무튼 우리나라사람들은 노벨상과 같은 권위적인 상을 굉장히 좋아하니 그런 상을 받은 경제학자들의 이론이라니! 라며 충분히 궁금증을 가질만하다. 사실 이 책이 초보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친절한 책과는 약간 거리가 있다.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지만 수요와 공급 법칙 같은 경제학의 기본적인 원리정도는 이해하고 읽는 것이 좋을 것같다. (사실 초반에는 친절하게 풀어쓰다가 점차 뒤로 갈 수록 귀찮아지는 건지 빨리 끝을 내고 싶은건지 하여간 그런 느낌이 든다.)
책은 무려 22명의 경제학자들과 이론을 다루고 있다. 언듯 보면 '죽은 경제학자들의 살아있는 아이디어'와 비슷해보이지만 그 책은 경제학자들의 생애부터 하나하나 세심히 다루었다면 이 책은 노벨경제학 상을 받은 이론을 간단히 다루고 그 이론을 통해서 대한민국의 현실을 분석하는 책이다.
2. 불연속적인 이론들
22명의 경제학자들 모아 놓기는 했지만 사실 그들 사이에 큰 연관성은 찾을 수가 없다. 크게 5개의 장으로 나누어놨으나 중간중간에 약간은 핀트가 어긋나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때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소위 말에서 그 분야에서는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있는 대가의 생각들을 굉장히 쉽게 풀어 놓은 책 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렇지만 그 배경이 되는 시대상황이나 그 전부터 있어왔던 이론이나 철학적 배경지식이 부족하다면 약간은 뜬금 없다는 느낌이 가끔 들 것이다.
3. 경제학자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다.
사실 이부분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앞에서 내가 불평불만을 가지고 투덜거리기는 했지만 각 경제학자들의 이론을 가지고 대한민국의 현실을 바라보게 하는 책이다.
언젠가부터 경제학이라는 것이 미래를 예측하는 일에는 영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이미 일어난 상황이나 현재 벌어지고 있는 일들 정교한 이론을 통해 설명을 하고 있을 때가 많다. 사회계속 발달하고 복잡해지니 당연한 수순일지도 모르겠다.
클린턴 전 대통령의 대선 홍보문구가 떠오른다. '문제는 경제야! 바보야!', 여전히 문제는 경제이다. 이 책에서 읽어주는 이론들과 시각들이 여러분의 경제적으로 생각하는 시야도 트여 줄 수 있다면 책 값어치는 충분히 했다고 생각한다.
'독서 노트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렌드코리아 2018 - 김난도 (0) | 2017.11.05 |
---|---|
경제학의 5가지 유령들 - 우리 사회를 갉아먹는 경제 이론의 진실 (0) | 2017.09.03 |
"전문가의 독재" - 경제 발전을 위해서 독재자가 필요할까? (0) | 2017.05.06 |
일의 미래 : 무엇이 바뀌고, 무엇이 오는가 - 선대인 (0) | 2017.03.29 |
그림자 노동의 역습 - 크레이그 램버트 (0) | 2016.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