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처음 취업을 하며 가졌던 생각 중 하나가 좋아하는 작가의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서가 아니라 사서 책장 가득 꼽아 놓는 것이 목표였던 적이 있는데. 지금도 무라카미 하루키의 시간 장편소설은 구매를 하지만 이미 읽었던 예전 소설들은 또 읽고 싶긴하지만 애초의 생각과 달리 돈을 들여서 사지는 않았다.

 

 그런데 이번에 나온 '태엽감는 새' 합본판은 '비실용성'과 '소장성 또는 있어보임(?)'을 두루갖춰 나의 욕망에 맞춰 제작된 것 같은 책이었다. 원래 4권으로 된 책을 한권으로 만들어놔서 책이 1,000페이지가 넘고 무겁기도 무거워 손에 들고 읽기에는 굉장히 부담스러운 책이다.

 

 그래도 작년 한해를 보내며 또 올해를 맞이하며 내 신변에 꽤나 큰 변화가 있어 생각도 정리할 겸 예구 후 비닐조차 뜯지 않았던 책을 뜯어 읽어 보았다. 맨날 회사 가기 싫다고 노래는 부르는 현실속 30대가 진짜 회사를 때려친 소설 속 30대를 부러워하며 책에 빠져 들어서 읽었다.

 

 현실과 비현실, 현실과 꿈, 일본과 만주, 과거와 현재까지 시공간을 소설의 내용을 가끔씩 따라가기 버거울 때가 있다. 거기다 온갖 상징과 메타포로 점철된 소설은 모든 인물이 개별적인 것 같으면서도 또한 모든 인물이 동일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풍긴다.

 

 한 때 사법시험을 준비하기도 했던 30세 주인공은 다니던 변호사 사무실을 그만두고 새로운 직장을 구하려고 한다. 그러나 부인도 반응도 그렇고 자기 자신 역시 딱히 하고싶은 일이 떠오르지 않아 새로운 일자를 찾는 일에 진전이 없다.

 

 주인공은 사회와 점점 멀어져간다. 그리고 현재 사회와 가장 정상적인 접점이라고 할 수 있는 부인마저 이별을 선언하고 집을 나가버린다. 그런데 어째 사회에서 점점 멀어질 수록 그와 관계된 사람의 숫자가 늘어가고 그 속에서 타인을 치유하며 큰 힘을 발휘한다. 그리고 그에게 강한 적개심을 들게하는 부인의 오빠인 와타야 노보루는 주인공과 반대로 타인에게 상처를 주며 현실 세계에서 영향력을 차츰 넓혀간다.

 

 확실히 몇번을 읽어도 매번 다른느 낌으로 다가오는 책이다. 

반응형
반응형

 

 

 나왔다고만 하면 서점가에 신드롬을 일으키는 일본작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신작 장편소설 "기사단장 죽이기" 1Q84 이후 실로 오랜만에 나온 장편소설이다. 개인적으로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굉장한 팬임을 밝히며 서평은 언제나 주관적이었지만 더 주관적으로 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미리 밝힌다.

 

 실로 오랜만에 나온 장편소설이다. 나는 정확히는 그의 장편소설에 열광적인 팬이다. 단편소설은 그럭저럭 읽었지만 에세이는 거의 읽어본적이 없는 편이다. 일종의 반쪽짜리 팬인가? 아무튼 예약구매로 도착한 책이 도착 하자마자 몇몇 방해를 이겨가며 그야말로 탐닉하듯이 책을 읽어 내었다. 간결하면서도 몰입도 있는 그의 문체는 여전했고 다시금 완전한 1인칭으로 변한 시점은 과거 "상실의 시대" 나 "태엽을 감는 새" 시절로 돌아간 듯 한 느낌을 주는 소설 책이었다.

이 책을 읽기를 추천하는 이유

1. 무라카미 하루키다. 뭐가 더 필요하지?

2. 그 때 그 시절 젊은 시절로 돌아간 듯 한 책, 그렇지만 왠지 나이든 작가를 느끼게 해주는 책

 

  평소처럼 키워드를 뽑아서 서평을 적어보고 싶지만 쉽지가 않다. 머릿속으로는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지만 간결하게 풀어낼 자신이 없다는게 사실라 일단 간략하게 감상이나 적어보자 한다.

 

  내가 느끼기에 이전 소설인 '1Q84'는 하루키 소설 치고는 굉장히 대중적인 성격이 강한 소설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이번 소설인 '기사단장 죽이기'는 다시금 1인칭으로 돌아가버린 시점 마냥 굉장히 매니악한 성격이 강한 소설이 되어버린 것 같다. (뭐 나야 좋지만) 하루키의 소설들을 많이 읽고 소위 말하는 '하루키 월드'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기사단장 죽이기'라는 소설에서 수 많은 그동안 그의 소설에서 보았던 수 많은 클리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갑작스러운 이혼, 아이 없는 부부, 욕심이라고는 찾아 볼 수 없는 남자 주인공, 어둡고 커다란 구멍, 이데아, 메타포, 섹스 등등 말이다. 하루키 소설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이 이야기들에서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이면 수 많은 상징과 기호로 가득찬 메타포의 세계에 뜬금없이 내던져저 헤메다 불쾌해진 채 책을 집어 던질 지도 있을 것만 같다.

 

 이 책의 이색적인 특징은 평소와 굉장히 다른 느낌의 결말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제까지 하루키의 장편소설들은 대부분 열린 결말이었다. 이전 소설인 1Q84는 현실 세계로 돌아온 듯 그렇지만 아닌 듯한 결말로 인해 사람들이 다음권이 또 나오냐는 질문과 추측이 인터넷에 쇄도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이번에는 좀 달랐다. (비록 허무하긴 했지만) 예약 구매를 하며 같이 산 비하인드 북의 인터뷰에 보면 분명 닫힌 느낌의 결말이라고 했다. (내가 느끼기엔... 1권으로 다시 가시오 라고 하는 것 같았다.)

 

 '해변의 카프카' 는 내가 아직까지 가장 좋아하는 소설 책이자. 무라카미 하루키를 처음으로 알게해준 책이었다. 이 책이 한국어로 출간된지 대략 14년 쯤 되었을 것이다. 그 책을 처음 읽었을 때 '해변의 카프카'의 주인공 '다무라 카프카' 만큼이나 어렸던 나는 어느 새, 이 책의 '나' 만큼이나 나이를 먹고 말았다. 그 때의 다무라 카프카도 이데아를 보았고 메타포 속을 헤매고 다녔다. 그리고 올해 다시 나타난 '나'도 이데아를 보았고 메타포 속을 헤메고 다닌다. 미묘하게 같지만 미묘하게 다르다. 문득 그때의 나와 지금의 나는 얼마나 다를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한번 더 읽어보고 다시 써봐야지)

반응형

+ Recent posts